주일말씀 창11:1-9
바벨탑의 교훈
김경진 목사님
[창11:1-9]
1 온 땅의 언어가 하나요 말이 하나였더라
2 이에 그들이 동방으로 옮기다가 시날 평지를 만나 거기 거류하며
3 서로 말하되 자, 벽돌을 만들어 견고히 굽자 하고 이에 벽돌로 돌을 대신하며 역청으로 진흙을 대신하고
4 또 말하되 자,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여 우리 이름을 내고 온 지면에 흩어짐을 면하자 하였더니
5 여호와께서 사람들이 건설하는 그 성읍과 탑을 보려고 내려오셨더라
6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이 무리가 한 족속이요 언어도 하나이므로 이같이 시작하였으니 이 후로는 그 하고자 하는 일을 막을 수 없으리로다
7 자, 우리가 내려가서 거기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여 그들이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하자 하시고
8 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으므로 그들이 그 도시를 건설하기를 그쳤더라
9 그러므로 그 이름을 바벨이라 하니 이는 여호와께서 거기서 온 땅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셨음이니라 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더라
루이스 긴즈버그, 성경의 전설들
니므롯, 바벨탑을 짓는 인물.
사람보다 벽돌이 중시되던 대 공사. 탑 꼭대기에서 하늘을 향해 활을 쏘아댔다. 성경과 다소 다른 이야기.
성경을 고고학적으로 본다면 신앙적 의미는 크지 않을 것.
성경의 흐름 속에서 볼 필요가 있다.
바벨탑을 쌓고자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앞선 홍수와 관련이 있을 것. 하나님의 심판으로 멸망한 경험을
바탕으로 신, 하늘을 정벌하고자 하였다.
[창11:4] 또 말하되 자,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여 우리 이름을 내고 온 지면에 흩어짐을 면하자 하였더니
하늘을 공격하려는 의도가 다분하다.
바벨탑 사건의 발단.
바벨의 뜻: 혼잡하게 하다. 하나의 해석.
Bab ilu: 하늘의 문.
하늘까지 닿을 만한 문화. 풍성이 그들에게 있었다.
시날 평지: 넓고 평평하고, 두 개의 강이 만나 진흙이 풍성하고 비옥한 땅. 진흙을 단단한 벽돌을 굽는 기술이 있었다.
마침내 하늘을 정복할 야심찬 계획을 세운다.
[창11:5] 여호와께서 사람들이 건설하는 그 성읍과 탑을 보려고 내려오셨더라
하나님은 하늘에 닿을만큼 한참을 쌓아올린 탑을 보시기 위해 내려오셔야 했다.
잊혀진 질문, 이병철
“과학이 더 발달하면 세상이 완전히 달라질까?”
무한한 지성을 가진 설계자가 있다.
아인슈타인,


탑을 쌓으려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하나님과 같아지려는 태도의 문제.
바벨탑은 그들의 문제를 풀어낼 수 있을까?
홍수는 피했을 지언정, 지진은 피할 수 없었을 것이다.
위대한 문명으로 우리는 모든 문제들을 뛰어넘을 수 있는가?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창12:2] 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고 네게 복을 주어 네 이름을 창대하게 하리니 너는 복이 될지라
바로 앞 바벨탑 말씀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말씀.
누가 주권자인가?
흩으시고 한 사람을 선택하신다.
하나님께서 하시는 것. 전능하신 하나님께 붙들리었을 때 얻을 수 있는 복.
과학 없이 살 수 없는 시대를 사는 우리.
우리는 여전히 땅에 있다. 우리는 스스로 하늘로 올라갈 수 없다. 우리는 누릴 수 있고, 조금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지만, 영생을 얻을 수는 없다.
죽음을 넘어설 수 없다.
우리는 하늘이라는 희망에 어떻게 이를 수 있을까?
하나님께서 내려오실 때 가능하다.
주님께서 우리 몸을 입으시고 이땅에 내려 오셨다.
우리의 유일한 소망 예수 그리스도.
'아카이브-말씀요약 (~2023) > 말씀요약 20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4/2 나를 따르라 (0) | 2023.04.02 |
---|---|
2023/3/26 기적을 보여주시는 이유 (1) | 2023.03.26 |
2023/3/12 미숙한 신앙의 부산물 - 이스마엘 (0) | 2023.03.12 |
2023/2/12 맏아들의 항변 (0) | 2023.02.12 |
2023/2/5 복의 근원이 된 아브라함 (0)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