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말씀 눅15:25-32
맏아들의 항변
김경진 목사님
[눅15:25-32]
25 맏아들은 밭에 있다가 돌아와 집에 가까이 왔을 때에 풍악과 춤추는 소리를 듣고
26 한 종을 불러 이 무슨 일인가 물은대
27 대답하되 당신의 동생이 돌아왔으매 당신의 아버지가 건강한 그를 다시 맞아들이게 됨으로 인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았나이다 하니
28 그가 노하여 들어가고자 하지 아니하거늘 아버지가 나와서 권한대
29 아버지께 대답하여 이르되 내가 여러 해 아버지를 섬겨 명을 어김이 없거늘 내게는 염소 새끼라도 주어 나와 내 벗으로 즐기게 하신 일이 없더니
30 아버지의 살림을 창녀들과 함께 삼켜 버린 이 아들이 돌아오매 이를 위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나이다
31 아버지가 이르되 얘 너는 항상 나와 함께 있으니 내 것이 다 네 것이로되
32 이 네 동생은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얻었기로 우리가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라
라틴어 성경 소제목, 탕자의 베유 끝자락의 에피소드
그러나 오늘 본문은 맏아들에 중심이 있다.
[눅15:1-2]
1 모든 세리와 죄인들이 말씀을 들으러 가까이 나아오니
2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이 수군거려 이르되 이 사람이 죄인을 영접하고 음식을 같이 먹는다 하더라
맏아들의 비유는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을 향하여 말씀하시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성경을 풍요롭게 하는 다양한 시각들.
어떤 이에게 탕자의 비유로 하나님께 돌아오게 하고,
어떤 이에게 불평하는 자가 더 성숙하게 한다.
탕자, 둘째 아들의 죄
재산 분배에 있어 문제점: 아들이 먼저 유산을 요구한 것
재산을 받자마자 아버지의 영향력을 벗어나 소진한 것. (급히 매각) 아버지의 죽음을 바라는 것과 같은 행동.
부모를 봉양할 책임을 저버림. (마음도 재산도 없는 상태)
돼지는 유대인에게 부정한 동물인데, 돼지치는 일을 함.
육체적, 신앙적 거리가 멀어지게 됨.
당시 상상할 수 없는 죄.
[눅15:21-24]
21 아들이 이르되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하나
22 아버지는 종들에게 이르되 제일 좋은 옷을 내어다가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
23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으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24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하니 그들이 즐거워하더라
이 모든 과정을 지켜본 첫째 아들.
둘째 아들과 달리 소유를 주장하지 않고, 아버지의 밭에서 성실하게 일하였다.
이제야 불효를 범하며 아버지의 마음을 상하게 하는 죄를
짓게 된다.
그럼에도 아버지는 그 맏아들을 찾는다. 친히 밖으로 나아온다.
“얘야” 친근하게 부르신다.
맏이의 재산에 해가 없을 것임을 확인하신다.
그리고 잔치에 참여할 것을 권하신다.
맏아들 입장에서는 공평하지 않아. 정의롭지 않아. 라고 항변하고 싶었을 것.
한 데나리온 받는 품꾼들의 항변이 떠오른다.
[마20:11-12]
11 받은 후 집 주인을 원망하여 이르되
12 나중 온 이 사람들은 한 시간밖에 일하지 아니하였거늘 그들을 종일 수고하며 더위를 견딘 우리와 같게 하였나이다
공정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주인은 반대로 한다. 조금 일한 사람들도 한 데나리온을 받는다. 받는 사람들의 비교와 상실감.
한결같이 손해보고 억울한 평범한 사람들.
자신보다 못한 사람들이 더 받게되는 순간 불만이 생겨났다.
다시스로 도망한 요나.
[욘4:2-3]
2 여호와께 기도하여 이르되 여호와여 내가 고국에 있을 때에 이러하겠다고 말씀하지 아니하였나이까 그러므로 내가 빨리 다시스로 도망하였사오니 주께서는 은혜로우시며 자비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하시며 인애가 크시사 뜻을 돌이켜 재앙을 내리지 아니하시는 하나님이신 줄을 내가 알았음이니이다
3 여호와여 원하건대 이제 내 생명을 거두어 가소서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이 내게 나음이니이다 하니
차라리 내가 죽어 저들이 잘 되는 것을 보고 싶지 않다 주장한다. 평범한 Matcher 임에도 놓쳤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들은 상실감 속에 빠져든다.
성경 속 여러 Matcher들은 다른 이의 가진 것을 보며 상실감을 느끼고 있다. 내가 가지고 누리는 것을 본다면 감사해야 할 상황이지만, 작은 남의 잔치가 부러워 진다.
우리 마음 속에는 공평하게 처리하려는 잣대가 있다.
그 시선으로 세상을 보먄, 이 세상은 공평치 않다.
비교한다면 공평할 수 없다.
아버지는 가족을 심어주고 계신다.
내가 못 가지더라도 우리 가족에 갖는다면, 함께 누린다면 함께 기쁘다.
다른 품꾼들이 나의 형제요 자매라면 모두 한 데나리온을 받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Matcher로, 내가 받은 것을 생각하며 누린다면 하나님을 닮은 또 다른 Giver가 될 수 있다.
하나님 닮아가는 matcher되기를 소망합니다.
'아카이브-말씀요약 (~2023) > 말씀요약 20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3/19 바벨탑의 교훈 (2) | 2023.03.19 |
---|---|
2023/3/12 미숙한 신앙의 부산물 - 이스마엘 (0) | 2023.03.12 |
2023/2/5 복의 근원이 된 아브라함 (0) | 2023.02.05 |
2023/1/29 야곱을 다루시는 하나님의 방법 (2) | 2023.01.29 |
2023/1/22 주는 자가 복이 있도다 (0) | 2023.01.22 |
댓글